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고용 지표 4가지 중 비농업 고용지수에 대해 알아보자. 이전에 포스팅한 고용 지표에 대한 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
비농업 고용지수 의미
Nonfarm Payroll 또는 Nonfarm Payroll Employment. 농축산업을 제외하고 전월에 몇 명이나 신규 고용되었는가 보여주는 지표이다. 사실, 농업뿐만 아니라 자원봉사자, 개인 가정부, 개인 사업자 또한 제외된다.
미국 노동통계국에서 집계하여 발표한다. 산출 방법은 미국 노동통계국에서 기업들 사업체, 정부 기관으로부터 급여 데이터를 수집하여 집계한다. 이때 고용 인원수, 평균 주간 근로 시간, 평균 시급 및 주급 등의 정보를 수집해 고용보고서를 발간한다.
비농업 고용지수 확인 방법
가장 최근 비농업 고용지수 확인
비농업 고용지수 또한 다른 지표들처럼 미국 노동통계국에서 확인 가능하다. 링크를 클릭한 뒤 스크롤을 내리면 가장 최근 발표된 비농업 고용지수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역대 비농업 고용지수 확인
역대 비농업 고용지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아래의 방법대로 해보자.
미국 노동통계국 고용 부문 홈페이지에서 CES Data -> Databases -> Top Picks -> 원하는 부문 비농업 고용지수 체크 후 Retrieve data 클릭


(미국 노동통계국 고용 대문 -> Databases -> Top Picks)


비농업 고용지수 발표 일정
비농업 고용지수는 매월 첫째 주 금요일에 발표된다.
비농업 고용지수 활용
비농업 고용지수가 갖는 의미와 비농업 고용지수를 활용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첫 번째로, 비농업 고용지수의 상승은 경기가 상승세임을 의미한다. 비농업 고용지수의 상승 -> 기업들이 더 많은 근로자를 필요 -> 기업들이 사람을 채용할 여력이 된다는 의미, 소비 개선, 경기 개선
두 번째로, 비농업 고용지수가 커진다고 무작정 좋은 것도 아닌 게, 시장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면 금리 인하가 늦춰지는 등, 증시와 양의 상관관계는 아닐 수도 있다.
추가 – ADP고용보고서
추가로, 연준에서는 금리를 결정할 때 ADP 고용보고서도 많이 참고한다고 한다. 여기에서 확인 가능하다. ADP 고용보고서는 국가나 지자체의 고용은 제외한 사기업의 고용만 집계된다.

참고 자료
- KB자산운용 : https://www.kbam.co.kr/board/view/453?srchTxt=%EC%A7%80%ED%91%9C&srchSel=&ctgry=
- Investopedia. Nonfarm Payroll : https://www.investopedia.com/terms/n/nonfarmpayroll.asp
- 미국 노동통계국, Current Employment Statistics : https://www.bls.gov/ces/
- 미국 노동통계국, 비농업 고용지수 어떻게 산출하는가? : https://www.bls.gov/opub/hom/ces/calculation.htm?utm_source=chatgpt.com
- ADP 고용보고서 : https://adpemploymentrepor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