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지표, 고용 지표 총정리

지금까지 경기와 관련된 지표들을 정리했다. 총 3가지의 물가 지표와 총 4가지의 고용 지표에 대해 포스팅했는데, 이를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각각의 지표들에 대한 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

  1. 물가 지표 – CPI
  2. 물가 지표 – PPI
  3. 물가 지표 – PCE
  4. 고용 지표 – 실업률
  5. 고용 지표 – 실업수당 청구건수
  6. 고용 지표 – 비농업 고용지수
  7. 고용 지표 – 평균 시간당 임금

물가 지표, 고용 지표 요약정리

개념

  1. CPI :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 변동 나타내는 지수
  2. PPI : 생산자들 간 거래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 변동 나타내는 지수
  3. PCE : CPI와 같은 의미 (간접 소비를 포함하고 품목 업데이트가 더 잦음)
  4. 실업률 : 구직 활동을 하지만 직업을 구하지 못한 사람들의 비율
  5. 실업수당 청구건수 : 실업수당을 청구한 건수
  6. 비농업 고용지수 : 농축산업을 제외하고 신규 고용된 사람들의 수
  7. 평균 시간당 임금 : 비농업 분야에서 종사하는 사람들이 시간당 받는 임금

발표 일정

물가 지표는 발표 일정이 불규칙적인 반면, 고용 지표는 매월 또는 매주 규칙적으로 발표된다.

  1. CPI : 불규칙 (매월 10~20일)
  2. PPI : 불규칙 (매월 10~20일)
  3. PCE : 불규칙 (매월 마지막 주)
  4. 실업률 : 매월 첫 번째 금요일
  5. 실업수당 청구건수 : 매주 목요일
  6. 비농업 고용지수 : 매월 첫 번째 금요일
  7. 평균 시간당 임금 : 매월 첫 번째 금요일

발표 주체, 확인 방법

아래 링크에서 각 지표의 가장 최근 발표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1. CPI : 미국 노동통계국
  2. PPI : 미국 노동통계국
  3. PCE : 미국 경제분석국
  4. 실업률 : 미국 노동통계국
  5. 실업수당 청구건수 : 미국 노동부
  6. 비농업 고용지수 : 미국 노동통계국
  7. 평균 시간당 임금 : 미국 노동통계국

2025년 발표 일정 정리

물가 지표 발표 일정

대상 기간CPIPPIPCE
2025년 4월5/135/155/30
2025년 5월6/116/126/27
2025년 6월7/157/167/31
2025년 7월8/128/148/29
2025년 8월9/119/109/26
2025년 9월10/1510/1610/31
2025년 10월11/1311/1411/26
2025년 11월12/1012/1112/19

고용 지표 발표 일정

대상 기간실업률실업수당 청구건수비농업 고용지수평균 시간당 임금
2025년 4월5/2매주 목요일 발표5/25/2
2025년 5월6/6매주 목요일 발표6/66/6
2025년 6월7/3매주 목요일 발표7/37/3
2025년 7월8/1매주 목요일 발표8/18/1
2025년 8월9/5매주 목요일 발표9/59/5
2025년 9월10/3매주 목요일 발표10/310/3
2025년 10월11/7매주 목요일 발표11/711/7
2025년 11월12/5매주 목요일 발표12/512/5

출처

출처는 아래와 같다.

  1. 미국 노동통계국 발표 달력 : https://www.bls.gov/schedule/2025/home.htm
    – CPI, PPI : Consumer Price Index, Producer Price Index 발표 일정
    – 실업률, 비농업 고용지수, 평균 시간당 임금 : Employmnet Situation 발표 일정
  2. 미국 경제분석국 발표 달력 : https://www.bea.gov/news/schedule
    – PCE : Personal Income and Outlays 발표 일정
미국 노동통계국 발표 달력

미국 경제분석국 발표 달력

후기

CPI 글을 3월 2일에 포스팅했으니, 2달에 걸쳐 물가 지표와 고용 지표에 관해 포스팅한 셈이다. 나는 왜 이것들을 정리했나? 자산분배 시 참고하기 위해서다. 특정 테마주에 휩쓸리지 않기 위해서다. 앞으로는 매달 발표되는 물가 지표와 고용 지표들을 분석하는 글들도 포스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