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관세의 영향이 수치에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25년 6월 CPI, PPI를 분석한다. (7월 발표) 이를 통해 투자와 판단의 근거로 사용해 보자.
25년 6월 CPI, PPI 분석
- 전년 대비 25년 6월 CPI 상승률 : 2.7%
- 전년 대비 25년 6월 PPI 상승률 : 2.3%
- 출처 : 노동통계국
이를 역대 이력들과 비교해 보자.

위 이미지는 2005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의 전년 대비 CPI 상승률이다. 총 246개의 데이터이며, 평균값은 2.59이다. 이미지에 나오진 않았지만 2025년 6월 CPI 상승률은 100번째에 위치해 있다. 2025년 6월 CPI 상승률은 지난 20년 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평균값과 중간값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PPI를 살펴보자. 위 이미지는 2010년 1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전년 대비 PPI 상승률 데이터다. 총 176개 데이터이며, 평균값은 2.61이다. 이미지에 나오진 않았지만 2025년 PPI 상승률은 77번째에 위치해 있다. 지난 15년 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2025년 6월 PPI는 평균값보다는 낮지만 중간값보다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25년 6월 CPI | 25년 6월 PPI | |
---|---|---|
과거 데이터 평균값 비교 | 높음 | 낮음 |
과거 데이터 중간값 비교 | 높음 | 높음 |
생각 정리
관세의 여파가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했고, 연준은 FOMC에서 장기적으로 2%의 물가 상승률을 원한다고 꾸준히 밝혀왔다. 역대 CPI, PPI와 비교해서도 결코 낮은 값들은 아니므로 물가가 안정기에 접어들었다고 판단할 수는 없는 듯… 여전히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며, 현금성 자산 비율과 월적립 투자금 비율을 유지해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