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지표, 고용 지표 총정리

CPI, PPI, PCE, 실업률 등 물가 지표와 고용 지표에 대해 요약정리했습니다. 지표들을 확인하는 방법과 발표 일정에 대해서도 포스팅했습니다.

고용 지표 – 평균 시간당 임금 뜻, 확인하는 방법

평균 시간당 임금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평균 시간당 임금의 개념, 역대 평균 시간당 임금과 변화율 확인 방법, 참고 자료 링크들에 대해 소개해 드립니다.

고용 지표 – 비농업 고용지수 개념, 확인 방법

비농업 고용지수의 개념, 확인 방법, 발표 일정에 대해 포스팅했습니다. 미국 노동통계국 뿐만 아니라 ADP 고용보고서를 확인하는 방법도 소개해드립니다.

고용 지표 – 실업수당 청구건수란? 확인 방법 등

고용지표 중 하나인 실업수당 청구건수에 대한 글입니다. 실업수당 청구건수 개념, 미국 노동부와 FRED 등 확인 가능한 사이트에 대해 포스팅했습니다.

PCE란? PCE 개념, CPI와 PCE 차이점

개요 대표적인 물가지수 3가지 중 마지막으로 PCE에 대해 알아보자. 이전에 다룬 CPI, PPI에 대한 글은 아래의 링크를 따라가자. PCE란? PCE 의미, CPI와의 차이 사실 PCE의 의미는 CPI와 큰 차이가 없다.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직역하면 개인 소비 지출로, 소비자들이 제품 구입 및 서비스 이용으로 지불하는 물가 지수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굳이 CPI가 이미 존재하는데 PCE는 왜 있는 … Read more

PPI란? PPI 개념, 확인하는 방법, 활용하기

개요 저번 글에서는 CPI에 대해서 알아봤다. 이번에는 물가 및 경제동향의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PPI에 대해서 정리한다. PPI란? PPI 개념 간단히 요약하면, CPI가 소비자들이 느끼는 물가라면 PPI는 생산자들이 느끼는 물가다. 예를 들어보자. 자동차를 만드는 회사는 자동차 차체에 쓰이는 강판을 구매한다. 그리고 강판을 만드는 회사는 철광석을 구매한다. 이렇게 생산자들이 다른 생산자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팔 때의 물가 … Read more

배당 용어 정리. 배당락일, 배당기준일이란?

개요 배당주에 투자하다 보니 용어가 너무 헷갈려서 정리하려고 한다. 배당기준일이 뭐고, 배당락일이 뭐고, 언제까지 주식을 사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등에 대해 정리했다. 용어 설명 요약하면 한국에서 어떤 종목의 배당기준일이 2025년 3월 13일인 경우, 배당락일은 3월 12일, 배당부일은 3월 11일이다. 배당선언일 (Declaration Date) ‘배당 공시일’ 이라고도 한다. 이사회가 배당금을 발표하는 날. 배당금의 규모와 언제 배당을 … Read more

수정종가란? 수정종가 개념, 예시, 활용

개요 요즘 배당주식에 대해 공부하다 보니 ‘수정종가’라는 개념을 접하게 되었다. 처음 보는 개념이라 인터넷을 뒤적이며 공부했고, 이 글을 쓰는 지금도 아직 100% 완전히 이해하진 못했지만 그래도 내가 어느 정도 이해한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글을 쓴다. 수정종가 개념 본론부터 말하자면, 수정종가란 ‘수익률을 보다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배당금, 주식분할 등이 반영되어 수정된 종가’ 이다. 그렇다면 수정종가는 왜 … Read more

CPI란? CPI 개념 정리, 보는 방법, 발표 일정

개요 CPI란? CPI 개념 정리 CPI란? 심화 : CPI의 종류 CPI 보는 방법 가장 간단한 방법 : 네이버 검색 미국 CPI 보는 방법 * 특정 월에 발표된 CPI는 직전 달의 CPI다. (예시 : 2025/02/12 에 발표된 미국 CPI는 2025년 1월 소비자 물가 지수이다.) 미국 CPI, Core CPI 확인 방법 (각각 Top Picks, One Screen, Multi-Screen,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