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I란? CPI 개념 정리, 보는 방법, 발표 일정

개요

  • 투자를 하면서 우리는 뉴스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경제 관련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는 용어가 바로 CPI다. ‘이번 달 CPI 변화율은 전년 동월 대비 3.0% 수준이고~’ 이런 말들을 접할 때마다 CPI가 대체 뭔지, 주식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가 궁금했다. 맨날 공부를 미루기만 했는데, 이번 기회에 CPI의 개념, 발표 일정, 보는 방법, 활용 방안 등을 확실히 정리하고 가야겠다. 이런 개념들이 잡혀 있으면 자산분배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 이번 글에서는 CPI의 개념을 다루되, 너무 딥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최대한 제외하고 꼭 필요한 내용만 담으려고 노력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고 싶다면, 맨 아래에 참고 자료의 출처들을 적어놓았으니 개인적으로 찾아보자.

CPI란? CPI 개념 정리

CPI란?

  • CPI는 ‘Consumer Price Index’의 약자로서,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한국말로는 소비자 물가 지수)
  • 쉽게 예를 들어, 쌀의 가격이 2024년에는 20kg에 10,000원이었는데 2025년에는 15,000원이 됐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 2024년을 기준 연도로 쌀 품목 소비자 물가 지수 100이라고 본다면, 2025년의 쌀 품목 소비자 물가 지수는 150이 되는 것이다. 또한, 쌀 품목의 소비자 물가 지수 변동률은 +50.0%가 된다.
  • CPI는 두 번의 가중 평균으로 계산된다. 첫 번째로, 각 품목에 대해 시·도별 가중 평균을 계산한다.(아래 이미지의 1, 2번 과정) 두 번째로, 여러 품목에 대해 가중 평균을 계산한다.(아래 이미지의 3번 과정)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CPI 전자 정부 누리집을 참고하자.

심화 : CPI의 종류

  • CPI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1. 근원 소비자 물가 지수(Core CPI, 핵심 소비자 물가 지수) : 음식과 에너지는 일시적 외부 충격에 의한 변동이 심하다. 이렇게 변동이 심한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품목에 대한 소비자 물가 지수. 실제 체감과는 괴리가 있지만 장기적인 물가를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된다.
  2. CPI-U (Consumer Price Index for All Urban Consumers) : 미국은 한국보다 지수에 포함되는 품목 수가 월등히 많으며, 이에 따라 여러 파생이 존재한다. CPI-U는 도시 전체의 소비자 물가 지수를 말하며, 우리가 흔히 말하는 미국 CPI는 CPI-U를 말한다. 미국 인구의 약 93%를 대표하며, 비도시권, 농업 종사자, 군인, 교도소, 정신병원 종사자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3. CPI-W (Consumer Price Index for Urban Wage Earners and Clerical Workers) : 도시 근로자, 사무직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CPI. 전문직 등은 제외된다. 미국 인구의 약 29% 대표
  4. SA CPI (Seasonally Adjusted Consumer Price Index) : 계절성 또한 물가 지수에 단기적인 변동성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계절요인 지수를 제거한 CPI
  5. Trimmed mean CPI (절사 평균 CPI) :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 중 변동폭이 큰 품목을 제외한 나머지 품목의 가격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
  6. Median CPI (중앙값 CPI) : 일련의 카테고리를 사용하여 이를 가장 낮은 가격 변동에서 가장 높은 가격 변동 순으로 정렬한 후, 중앙 소비자물가지수(CPI)는 그 가운데 있는 중간값 또는 중앙값 가격 변동을 기초적인 인플레이션율의 추정치로 사용
  • 상당히 종류가 많아서 읽다 보니 뇌절같고 어지럽지만, 내 생각에 우리가 가장 눈여겨볼 것들은 크게 3가지이다.
  1. CPI, Core CPI
  2. 전년 동월 대비 CPI, Core CPI 변화율
  3. 전월 대비 CPI, Core CPI 변화율

CPI 보는 방법

가장 간단한 방법 : 네이버 검색

  • 가장 간단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그냥 네이버에 한국 cpi 또는 미국 cpi 라고 검색하면 된다.

미국 CPI 보는 방법

  • 이제 미국 CPI, 한국 CPI 별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는 방법을 알아보자
  • 우선, 미국 노동 통계국에서 미국 CPI 외에도 PPI 등 여러 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 살짝만 미리 살펴보면, ‘가장 최근에 발표된 전년 동월 대비 CPI 변화율’ 은 SUBJECTS -> Inflation & Prices -> Consumer Price Index 탭 -> CHARTS 부분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국 CPI, Core CPI 확인 방법
  • 미국 노동 통계국 -> DATA TOOLS -> Data Retrieval Tools -> Top Picks, One Screen, Multi-Screen, and Maps -> Inflation & Prices 항목 -> All Urban Consumers (Current Series) 의 Top Picks 클릭 -> 그럼 여기로 오게 된다.
  • Top Picks에서는 보고 싶은 CPI 품목별 물가 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 우리가 보고 싶은 건 CPI, Core CPI 이므로 다음 2개 항목에 체크하고 Retrieve data 버튼을 클릭하자 : U.S. city average, All items – CUUR0000SA0, U.S. city average, All items less food and energy – CUUR0000SA0L1E

(각각 Top Picks, One Screen, Multi-Screen, and Maps 탭, CPI, Core CPI를 볼 수 있는 Top Picks 탭)

  • 그럼 아래 이미지와 같이 CPI-U(흔히 우리가 말하는 CPI), Core CPI를 볼 수 있다. Download의 엑셀 아이콘 옆 xlsx를 클릭하면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 이때, 1982-84년의 CPI를 100 기준연도로 삼는다. 표를 다운로드해 직접 전년 동월 대비 변화율, 전월 대비 변화율을 볼 수도 있지만 미국 노동 통계국은 친절하다. 아래 목차에서 적은 방법으로 변화율들을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다.
여기선 잘렸는데, 스크롤 내리면 Core CPI도 있다

미국 전년 동월 대비, 전월 대비 CPI, Core CPI 변화율 확인 방법
  • 위 이미지에서 More Formatting Options 버튼이 보이는가?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1, 2, 3, 6, 12개월 변화율과 조회할 기간을 선택할 수 있다. (무려 1913년 데이터부터 조회가 가능하다 ㄷㄷ..)
  • 1-Month Percentage Change, 12-Month Percentage Change를 클릭해 주면 간단하게 전년 동월 대비, 전월 대비 CPI 변화율도 함께 조회할 수 있다.

(각각 More Formatting Options 클릭 시 나오는 화면, 전월 대비 CPI 변화율)

한국 CPI 보는 방법

  • 한국도 미국 노동 통계국 못지않게 데이터를 잘 정리해서 제공해 준다.
  • 일단 전자 정부 누리집 CPI 동향에서 최근 월별 CPI 지수, 전년 동월 대비, 전월 대비 CPI 변화율을 한 번에 볼 수 있다.

  • 좀 더 자세한 정보는 소비자물가지수동향 바로가기를 클릭하면 된다. 해당 사이트에서는 1965년 데이터부터 현재까지 CPI 지수를 몰아서 볼 수 있다. 시점 버튼을 클릭해 조회하고 싶은 기간을 조정할 수 있고, 증감률 버튼을 클릭해 전년 동월 대비, 전월 대비 변화율도 확인할 수 있다.

CPI 발표 일정

CPI 발표 일정 : 가장 최근 발표 일정 확인

  • 미국 노동 통계국 CPI 대문 -> NEWS RELEASES 탭 확인
  • 2025/03/02 기준, 가장 최근에 발표된 CPI는 2025/02/12 발표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25년 1월 CPI)

올해 CPI 발표 일정 확인

(미국의 경우)

  • 위 이미지에서 NEWS RELEASES 탭 아래에 NEXT RELEASE 부분이 보이는가? 그 아래의 read more 버튼을 클릭하면 향후 CPI 발표 일정을 볼 수 있다. 또한 해당 페이지 왼쪽의 ENTIRE YEAR, 2025 탭을 클릭하면 각 월별로 CPI 뿐만 아니라 PPI 등 여러 지수들의 발표 및 주요 행사 일정을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미국 노동 통계국은 둘러볼만한 게 정말 많다)

  • 위 출처에 근거한 2025년 CPI 발표 일정은 아래와 같다.
Reference MonthRelease DateRelease Time
October 2024Nov. 13, 202408:30 AM
November 2024Dec. 11, 202408:30 AM
December 2024Jan. 15, 202508:30 AM
January 2025Feb. 12, 202508:30 AM
February 2025Mar. 12, 202508:30 AM
March 2025Apr. 10, 202508:30 AM
April 2025May 13, 202508:30 AM
May 2025Jun. 11, 202508:30 AM
June 2025Jul. 15, 202508:30 AM
July 2025Aug. 12, 202508:30 AM
August 2025Sep. 11, 202508:30 AM
September 2025Oct. 15, 202508:30 AM
October 2025Nov. 13, 202508:30 AM
November 2025Dec. 10, 202508:30 AM

(한국의 경우)

  • 한국의 경우 여기(전자 정부 누리집)에서 공표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CPI 활용

  • 이런 CPI를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 우선 나는 자산분배에 사용하려고 한다. 높은 CPI는 금리 인상 또는 유지 정책의 가능성을 높여주고, 이는 주식 시장에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이를 근거로 주식과 현금 비율 조정 등 자산분배에 활용할 예정
  • 또 어떤 분은 CPI, Core CPI와 채권의 관계를 분석하시기도 한다. (참고 블로그 : https://jin1413.tistory.com/entry/Prices-Producer-Price-IndexPPI)

마치며

  • CPI를 공부하려고 구글에 검색해서 미국 노동 통계국에 접속하면 당혹스러울 것이다. 낯선 영어 웹사이트, 영어로 된 메뉴창들…. 처음에는 뇌정지가 왔는데 나도 처음엔 그랬다. 그래서 미국 노동 통계국 사이트에서 직접 이것저것 눌러보면서 내가 보고 싶은 것들을 찾으며 공부했고, 그러면서 알게 된 사실들을 정리했다. 사이트 주소들이 변할 수는 있다. 하지만 어떤 방식으로, 어디에서 CPI 데이터, 자료들을 검색해서 찾을 수 있는지 그 방법과 감각은 남아있을 것이다.
  • 새삼 미국도, 우리나라도 통계 자료들을 잘 정리해서 모두에게 공개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CPI 말고도 다른 자료들을 찾아보며 탐험하는 재미가 있을 것 같다.

*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