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지표 – 실업률이란? 실업률 개념, 활용
고용 지표들 중 첫 번째로 실업률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실업률의 개념, 실업률 확인 방법, 실업률 발표 일정, 참고 자료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보통 사람의 투자 이야기
고용 지표들 중 첫 번째로 실업률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실업률의 개념, 실업률 확인 방법, 실업률 발표 일정, 참고 자료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4월 4일 새벽 6시, 야간 근무의 끝자락. 문득 미국 증시 현황이 궁금해 모바일 증권 어플에 접속했다. 그리고 나는 난생처음 보는 광경에 현실을 부정했다. 나스닥이 이틀 동안 10% 하락했다. 이틀 만에 천만 원이 증발했고, 야간 근무가 끝나 침대에 누운 내게는 깊은 상실감과 허탈함만 남았다. 투자를 시작한 지난 2년이 물거품으로 돌아간 것 같았다. 평소에 ‘배당은 하락장에도 버틸 … Read more
개요 대표적인 물가지수 3가지 중 마지막으로 PCE에 대해 알아보자. 이전에 다룬 CPI, PPI에 대한 글은 아래의 링크를 따라가자. PCE란? PCE 의미, CPI와의 차이 사실 PCE의 의미는 CPI와 큰 차이가 없다.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직역하면 개인 소비 지출로, 소비자들이 제품 구입 및 서비스 이용으로 지불하는 물가 지수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굳이 CPI가 이미 존재하는데 PCE는 왜 있는 … Read more
배당투자를 지향하는 투자자의 2025년 2월의 배당금 이력입니다. 2025년 목표 연 배당금과 현재까지 누적 배당금 합계, 달성률을 기록했습니다.
개요 저번 글에서는 CPI에 대해서 알아봤다. 이번에는 물가 및 경제동향의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PPI에 대해서 정리한다. PPI란? PPI 개념 간단히 요약하면, CPI가 소비자들이 느끼는 물가라면 PPI는 생산자들이 느끼는 물가다. 예를 들어보자. 자동차를 만드는 회사는 자동차 차체에 쓰이는 강판을 구매한다. 그리고 강판을 만드는 회사는 철광석을 구매한다. 이렇게 생산자들이 다른 생산자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팔 때의 물가 … Read more
개요 배당주에 투자하다 보니 용어가 너무 헷갈려서 정리하려고 한다. 배당기준일이 뭐고, 배당락일이 뭐고, 언제까지 주식을 사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등에 대해 정리했다. 용어 설명 요약하면 한국에서 어떤 종목의 배당기준일이 2025년 3월 13일인 경우, 배당락일은 3월 12일, 배당부일은 3월 11일이다. 배당선언일 (Declaration Date) ‘배당 공시일’ 이라고도 한다. 이사회가 배당금을 발표하는 날. 배당금의 규모와 언제 배당을 … Read more
개요 요즘 배당주식에 대해 공부하다 보니 ‘수정종가’라는 개념을 접하게 되었다. 처음 보는 개념이라 인터넷을 뒤적이며 공부했고, 이 글을 쓰는 지금도 아직 100% 완전히 이해하진 못했지만 그래도 내가 어느 정도 이해한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글을 쓴다. 수정종가 개념 본론부터 말하자면, 수정종가란 ‘수익률을 보다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배당금, 주식분할 등이 반영되어 수정된 종가’ 이다. 그렇다면 수정종가는 왜 … Read more
배당투자를 지향하는 투자자의 2025년 2월의 배당금 이력입니다. 2025년 목표 연 배당금과 현재까지 누적 배당금 합계, 달성률을 기록했습니다.
개요 CPI란? CPI 개념 정리 CPI란? 심화 : CPI의 종류 CPI 보는 방법 가장 간단한 방법 : 네이버 검색 미국 CPI 보는 방법 * 특정 월에 발표된 CPI는 직전 달의 CPI다. (예시 : 2025/02/12 에 발표된 미국 CPI는 2025년 1월 소비자 물가 지수이다.) 미국 CPI, Core CPI 확인 방법 (각각 Top Picks, One Screen, Multi-Screen, … Read more
개요 – 저번에 작성한 글에서는 배당귀족주들의 배당금 이력을 조회하는 코드를 작성했다. 그런데 포스팅하는 중에 ‘배당귀족주 말고 모든 종목에 대해 배당금을 조회할 수 있으면 편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고, 이를 코드로 구현했다. 그냥 코드를 복붙하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지만 파이썬이 깔려있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공유할 수 있도록 exe 파일도 만들었다. (근데 파일이 너무 무겁다…) 프로그램 설명 1.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