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I란? PPI 개념, 확인하는 방법, 활용하기

개요

저번 글에서는 CPI에 대해서 알아봤다. 이번에는 물가 및 경제동향의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PPI에 대해서 정리한다.

PPI란? PPI 개념

간단히 요약하면, CPI가 소비자들이 느끼는 물가라면 PPI는 생산자들이 느끼는 물가다.

예를 들어보자. 자동차를 만드는 회사는 자동차 차체에 쓰이는 강판을 구매한다. 그리고 강판을 만드는 회사는 철광석을 구매한다. 이렇게 생산자들이 다른 생산자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팔 때의 물가 변화를 측정한 것이 PPI 이다. 소비자가 자동차 회사로부터 자동차를 구매할 때는 CPI의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생산자들 간에 상품이 거래될 때는 구매하는 생산자의 특성, 추가로 가공되는지에 따라 Final Demand, Intermediate Demand 로 나뉜다. 구매하는 생산자가 소비자에게 팔리기 직전인 경우의 물가 Final Demand(위 그림에서 자동차 회사가 강판을 구입할 때), 그 외를 Intermediate Demand(위 그림에서 강판 회사가 철광석을 구매할 때)로 본다. 보통 대표로 보는 PPI는 Final Demand PPI이다.

사진은 가장 최근 발표된 PPI. Final Demand 최상단에 파란색 글씨로 위치해있다. (출처 : 미국 노동통계국)

PPI 확인하는 방법

미국 PPI 확인하기

이전 글에서 CPI를 확인하던 방법과 거의 유사하다.

  1. 미국 노동통계국 홈페이지 접속
  2. (가장 최근 발표된 PPI의 전월 대비 변화율 확인) MENU -> SUBJECTS -> Producer Price Indexes
  3. (역대 PPI 확인) MENU -> SUBJECTS -> Producer Price Indexes -> PPI Data -> Data Overview -> Databases -> PPI Databases -> Top Picks -> Total manufacturing industries 체크 -> Retrieve data 클릭
  4. (역대 PPI의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변화율 확인) 3번 이후 More Formatting Options 클릭 -> 1-Month Percent Change, 12-Month Percent Change 체크 후 Retrieve Date 클릭

좌 : 미국 노동통계국 PPI 대문, 우 : 역대 PPI의 전년 동월 대비 변화율

한국 PPI 확인하기

한국 PPI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서 확인 가능하다.

PPI 활용

  • KB자산운용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듯이 PPI는 소비자 거래보다 먼저 거래되는 품목들의 물가 지수이다. 때문에 CPI의 선행 지수 역할을 한다. 발표된 PPI를 보고 다음 CPI의 향방을 조금이나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 CPI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인데, 역대 물가 상승률과 올해의 물가 상승률을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로는 역대 전년 동월 대비 PPI 변화율을 비교하는 것, 두 번째로는 역대 전월 대비 PPI 상승률 비교하는 것, 세 번째로는 역대 해당 월까지의 PPI 변화율과 올해 해당 월까지의 PPI를 비교하는 것. 이렇게 하면 현재 인플레이션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지 않을까?

참고 자료

  1. 미국 노동통계국 PPI 대문 홈페이지 : https://www.bls.gov/ppi/
  2. 인베스토피디아 PPI 설명 : https://www.investopedia.com/terms/p/ppi.asp
  3. KB증권 PPI 설명 : https://www.kbam.co.kr/board/view/429?srchTxt=&srchSel=&ctgry=
  4.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 https://ecos.bok.or.kr/#/